핵심 전략 |
구성원의 역량 강화와 지지적 재활환경 구축을 통한 장애인 자립 선도 |
단기 추진계획 (2019 ~ 2020) |
중기 추진계획 (2021~ 2023) |
장기 추진계획 (2024 ~ 2028) |
구성원의 역량강화 |
(직원) ➀전문성 향상을 위한 직무교육 지원 ➁법인 내 직원 교육 실시 ➂강점 기반 실천 연구 ➃법인, 시설간 업무 공유 및 수퍼비젼 강화
(회원) ➀장애인 근로자 12명 확대 ➁직무기술 향상을 통한 자격증 취득 ➂직업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실시 (직무, 문제 p/g시간 확대 1시간→1.5시간) ➃훈련생 4명 보호고용 전이 ➄자치회의를 통한 시설운영에 당사자 참여 시도 ⑥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실시 |
(직원) ➀법인 내부 교육 시스템 구축 (신입. 중간·최고 관리자) ➁전문성 향상을 위한 직무 교육 확대 ➂강점 기반 실천 확산 ➃직원 복지 확대 ➄직원 근속률 향상
(회원) ➀장애인 근로자 15명 확대 ➁직무기술 향상을 통한 자격증 취득자 ➂현장중심의 직업적응훈련 실시 (베이커리/카페) ➃훈련생 10명 보호고용 전이 ➄자치회의를 통한 시설운영에 당사자 참여 확대 ⑥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실시 확대 |
(직원) ➀해외 선진기관 방문 ➁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비 등 지원 확대 ➂강점 기반 실천 문화 정착 ➃업무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지원 ➄직업재활 서비스 우수 사례에 대한 발표
(회원) ➀장애인 근로자 20명 확대 ➁제과제빵/바리스타경진대회 수상 ➂외부 현장훈련 시도 ➃자체 훈련을 통한 훈련생 외부 보호고용 전이 시도 ➄자치회의를 통한 시설운영에 당사자 중심 문화 정착 ⑥동료지원 활동가 양성 |
지지적 사회재활환경 구축 |
➀이용회원 이동 지원을 위한 스타렉스 구입 ➁베이커리&카페 제품 생산 기계 교체 ➂지역사회 축체 참여를 통한 장애인식개선 도모 ➃자원봉사자 및 후원자 10명 확대 |
➀작업 편의성 증대를 위한 기자재 구입 ➁지역사회 축제 참여 확대 ➂지역민과 함께 하는 커피& 베이커리 교육 실시 ➃지역내 장애인 인식개선 사업 수행 ➄자원봉사자 및 후원자 30명 확대
|
➀시설의 확장 이전을 통한 재활서비스 환경 개선 ➁지역 축제 참여 확대 ➂지역내 장애인 인식개선 사업 수행 확대 ➃자원봉사자 및 후원자 60명 확대 |
장애인 자립 선도 |
➀최저임금 이상 지급자 2명 ➁장애인 근로자 근속기간 증대 |
➀최저임금 이상 지급자 7명 ➁장애인 근로자 근속기간 5년 이상 증대 |
➀최저임금 이상 지급자 15명 ➁장애인 근로자 근속기간 10년 이상 증대 |